글
CEDEC는 일본의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입니다. 한국에는 KGC가 있고 미국에는 GDC가 있습니다.
한달 전에 CEDEC에서 강연자 모집을 위해 이전 강연자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2006년에서 2009년 자료까지 공개 되어 있습니다.
http://cedec.cesa.or.jp/2010/archive.html
한달 전 공개되었던 자료 중 제목을 보고 흥미로운 것들을 받아만 놓고 정리를 하지 못했는데 오늘 생각난김에 하였습니다.
제가 볼 강연 문서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2009년 >
인터렉션 기술의 최전선 - 터치 인터페이스와 그외 AC18.pdf
하이 퍼포먼스 컴퓨팅과 게임의 깊은 관계 AC32.pdf
공학으로서의 AI, 이학으로서의 AI - RoboCup을
취재하고 AC40.pdf
현대의 일본에 있어서 제로 메이커 제안형 게임 개발이라는 것은 GD68.pdf
아케이드 게임의 네트웍 서비스 NW25_kataoka.pdf
타이토 NET ENTRY SYSTEM 개요 설명
NW25_saka.pdf
P2P 통신 기술 : BitTorrent 프로토콜을 사용한 대용량 데이터 통신 NW43.pdf
MMOG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사례 -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문제 NW46.pdf
데몬 소울의 게임 디자인 PD45.pdf
게임 시장 '지금'
PD50.pdf
혼란스러운 파생개발(개발 방법론) - 베이스
개발법과 파생개발 프로세스의 문제 PG52.pdf http://forza.cocolog-nifty.com/blog/2009/07/xddp-9ce0.html
확장성 있는 병렬화 - 병렬화는 CPU에도 GPU에도 필견 PG56.pdf
스퀘어 에닉스의 좀 좋은 프로그램 PG65.pdf
Natural Expression - 자연스러운 표현을 목표로
PG80.pdf
Squirrel을 사용한 게임 개발 PartII PG82.pdf
몬테카루로 법에 의한 게임 AI의 가능성
PG90_yoshizoe.pdf
AI Day(5) 게임 AI를 또 말한다
PG91
소울칼리버 시리즈 비주얼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PG92.pdf
생태학적 게임 AI론 - 지금부터 게임 AI를 위한 새로운 기초
PG2009_0901_miya.pdf
소프트웨어 렌더라의 현상태 - Pixar's RenderMan과 V_Ray에서 보는 향상하는 인터렉티브성 PR07.pdf
툴 & 미드웨어를 활용한 멀티 플랫폼 게임 개발
PR19.pdf
프로 따위 필요 없어 RT-0901haru.pdf
게임과 교육의 보다 좋은 관계 SP12.dpf
해외 게임 회사 입사문제 경향과 대책 SP23.pdf
행복한 게임 개발 환경 구축 - 잊어버렸던 목적을 되찾기
SP24.pdf
SIGGRAPH ASIA와 게임 기술의 전망 VA23.pdf
< 2008, 2007년 >
네트웍 게임 연구 이론과 실제 ac07.pdf
충돌판정법을 소트 검색 알고리즘 관점에서 바라보다 ac08.pdf
20년 전의 게임 개발과 근래의 캐주얼 게임 만들기 gd20.pdf
게임 디자이너를 위한 2D 피직스
gd07.pdf
99의 눈물 gd11.pdf
온라인 게임 운영 시점에서 본 게임 개발 nw03.pdf
FMMORPG FINAL FANTASY XI의 운영을 지지하는 기술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스토레지를 중심으로 nw40.pdf
자동진행현 네트웍 게임 '프로야구팀을 만들자 온라인2'개발의
시험 nw06.pdf
일반용 게임 개발환경 'GAME BRAIN'의 Web 애플리케이션화와
유저 동향 pd07.pdf
Squirrel를 사용한 게임 개발 pg01.pdf
AI Day(2) 마왕의 마음을 그대에게 - '용자 주제에 건방지다'가 목표로한 자기조직화 알고리즘 pg17.pdf
MS 실버라이트 2 게임개발
pg18.pdf
5년 후의 게임 개발현장을 생각한다. pg25
MEL을 사용하여 작업을 단축한다 - 디자이너에 의한 효율화 r43.pdf
게임닉스 이론2 rt07.pdf
댓글
강연자 모집을 위해서 강연자료를 공개한다는 게 참 당연한 것 같으면서도 신기하네요. ^^ 혹시 또 전부 번역해서 올리실 겁니까? ^^;;
이 자료들은 함부로 손대기 힘든 것이라서 번역하더라도 공개할 생각은 없습니다. 현재는 번역을 하던가 아니면 제가 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회사 내부 스터디에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チュートリアル:ゲームプログラミングの始め方(前半)
요거 하나 받아서 봤는데 자료 만드신 분 대단합니다. 근데 일본어라 모르는 분들은 그림의 떡일거 같습니다. 아무튼 대단합니다.
저도 한번 보려고 했는데 어디에 있는지 못찾겠더군요